일상, 생활 기록
-
2021.1.10 기록일상, 생활 기록 2021. 1. 10. 14:33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구현에 앞서서 탄탄한 설계가 먼저 되야한다. 탄탄한 설계는 앞으로 진행할 구현에 있어서 이정표가 된다. 이러한 설계에는 요구사항 분석, 테스트 케이스 작성, 아키텍처 분석 등이 있겠다. 생산성에 대한 고민을 더 해보기. 주어진 시간은 누구에게나 같다. 이러한 한정된 시간 안에 무엇을 할 것인지, 무엇을 학습하고, 작업할 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해야한다. 도메인 지식을 알아야한다. 영상 서비스와 관련된 개발을 한다면 영상 서비스에 대한 용어, 트렌드, 기술에 대해서 알고 자주 사용해봐야한다.
-
2020년 회고일상, 생활 기록 2021. 1. 2. 15:26
벌써 2021년이 시작됐지만 2020년을 회고해본다. 2020년엔 참 많은 일들을 이뤄낸 한 해였다.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했으며, 안드로이드 개발에 집중했다. 개발이라고는 아무것도 해본적 없던 내가 처음했던 건 책이나 튜토리얼을 보면서 클론 코딩을 해보는 것. 이 코드가 무슨 의미인지 어떤 기능을 가지는건지도 모르는체 무작정 시작했었다. 다행히도 주변에 배울만한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 빠른 성장에 도움이 됐었다. 과제를 받으면서 피드백 받고, 무엇이 부족한지, 또 궁금한 것에 대해서 물어볼 수 있었다. 당시 겨울 방학 인턴십으로 작은 법률회사에서 기획 및 영상 편집을 담당하고 있었다. 개발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을 하면서 퇴근 후 틈틈히 개발 공부를 해나갔었다. 독학으로 공부하는 것에 대해 한계를 ..
-
반응형 UI 설계를 위한 덕목 - 가변 영역, 고정 영역 구분일상, 생활 기록 2020. 9. 5. 11:40
UI 구성 중 자주 마주치는 문제들 디자인을 넘겨준대로 레이아웃을 설계하다보면 디자인대로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ContraintLayout이나 RelativeLayout 등 반응형 디자인을 위한 상대적인 비율을 설정할 수는 있으나, 마진값과 텍스트 크기 등 디자인에서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값만큼 넣었을 때, 화면을 초과하거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디프만 8기에서 진행중인 'MIMO' 에서도 이런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했는데요. 한 화면에 리소스들이 워낙 많았고, 또 고정적으로 줘야되는 마진 값이 많아 주어진 디자인 그대로 작성했을 때, 화면이 작은 기기에서는 화면을 넘어가버리는 일이 발생하죠. 그럼 이럴 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스크롤 뷰를 통한 스크롤링으로 해결 간단히 생..
-
무엇을 참조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자일상, 생활 기록 2020. 8. 8. 01:44
개요 참조라는 개념은 프로그래밍 전반적으로 쓰이는 단어입니다. 예를 들면 변수가 특정 객체를 가르키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변수가 또 다른 변수(리스트와 같은)를 가르키고 있을 수도 있죠. 이 참조라는 개념이 정확하게 정립이 되지 않으면 디버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널포인터익셉션과 같은 버그나 여러 잡다한 버그들이 이 참조라는 부분에서 실수가 나기 때문이죠. 그래서 변수나 객체를 선언할 때 참조를 반드시 신경써야겠습니다. 최근 Behind라는 숭실대학교 IT 동아리인 유어슈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대학 강의 별로 커뮤니티, 게시판을 만들어서 강의별 여론을 활성화하자는 목적을 가진 앱이죠. 저는 이 앱을 제작하던 중 참조와 관련한 사소한 버그를 만납니다. 하지만 뭐가 문제인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군머니티일상, 생활 기록 2020. 7. 16. 10:11
('https://itandhumanities.tistory.com/'이하 'IT와 인문학')은(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IT와 인문학') 은(는)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할 것입니다. ○ 본 방침은부터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https://itandhumanities.tistory.com/'이하 'IT와 인문학')은(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한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될 시에는 ..
-
초보의 정규표현식 배우기일상, 생활 기록 2020. 5. 12. 22:24
이전에 정규표현식에 대해서 잠깐 들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처음 정규표현식을 검색해봤을 땐.. 무슨 외계어가 있지..? 정말 처음 봤을 땐 이상한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들이라 알아들을 수가 없었고, 공부하고 싶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얼마전 코딩테스트를 보면서 정규표현식을 잠깐 접하고 문자열에 대해서 어느정도 친해지고 있었습니다. 이번 YAPP에서 만들고 있는 프로젝트 중에 로그인, 회원가입 화면을 구현하고 있는데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대한 필터링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만드려면 정규표현식이 필수적이었죠. 그래서 정규표현식을 공부하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무슨 목적의 정규식이 필요한지 정하자 사실 정규표현식을 기능적으로만 사용하려면 검색만 하면 됩니다. 대부분의 정..
-
첫 코딩 테스트 후기일상, 생활 기록 2020. 5. 11. 14:26
예상대로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얻은 것이 많았다 머리털나고 처음 코딩 테스트를 쳐봤다. 결과는 아직 발표나지 않았지만, 예상대로 상당히 당황하고 어려웠던 느낌. 그 전까지 알고리즘에 대해서 깔짝깔짝 접해본 적은 있지만, 제대로 공부해본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하지만 시험을 준비하는 만큼 필사적으로 공부해서 단기간에 실력이 상당히 늘은 것 같다.(물론, 나의 이전 상태와 비교해서 말이다.) 결과가 어떻든 간에 알고리즘과 더 친해졌고, 나도 코딩테스트 할 수 있구나! 라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던 경험인 것 같다. 또, 내가 가고 싶은 회사들을 가려면 앞으로도 계속 코딩 테스트를 접해봐야겠지. 그래서 이번에 경험한 코딩 테스트 준비 과정을 기록해보려고 한다. 알고리즘을 왜 공부해야하는 지에 대한 생각 정립 ..